![](https://dnvefa72aowie.cloudfront.net/origin/article/202407/3e147c2adef6e628f2601e57aca76cebb763f73da64004c77b4f11eb60d64cef_0.webp?f=webp&q=95&s=1440x1440&t=inside)
![](https://dnvefa72aowie.cloudfront.net/origin/article/202407/befe335e307193954e918db6cf723dfb479e950fdae85adbcd1dfd17f8d7b485_1.webp?f=webp&q=95&s=1440x1440&t=inside)
![](https://dnvefa72aowie.cloudfront.net/origin/article/202407/befe335e307193954e918db6cf723dfb479e950fdae85adbcd1dfd17f8d7b485_2.webp?f=webp&q=95&s=1440x1440&t=inside)
![](https://dnvefa72aowie.cloudfront.net/origin/article/202407/befe335e307193954e918db6cf723dfb479e950fdae85adbcd1dfd17f8d7b485_3.webp?f=webp&q=95&s=1440x1440&t=inside)
![](https://dnvefa72aowie.cloudfront.net/origin/article/202407/3f1753613a51955b345f366a96ed1962ff03d7e807b31af891b32452f7aad771_4.webp?f=webp&q=95&s=1440x1440&t=inside)
![](https://dnvefa72aowie.cloudfront.net/origin/article/202407/4841af6d462d9f49298f6c32ced991b6429d45f26e3f7b1c345bcf37e7c94533_5.webp?f=webp&q=95&s=1440x1440&t=inside)
![](https://dnvefa72aowie.cloudfront.net/origin/article/202407/3f1753613a51955b345f366a96ed1962ff03d7e807b31af891b32452f7aad771_6.webp?f=webp&q=95&s=1440x1440&t=inside)
테크닉스의 최첨단 전자 기술이 투입된 성능과 기능성 을 추구한 궁극의 리니어 트래킹 플레이어. 테크닉스 리니어트래킹 플레이어의 최정상에 있는 SL-10의 바로 다음가는 모델로 발매가 79,800 엔은 SL-1200MK2 의 1981년도 발매가 75,000엔 보다도 높은 가격입나다. SL-QL1은 MM카트리지 EPS-P202C가 장착되어 있는데 당시 SHURE V-15type3가 일본 국내에서 21,000엔에 발매되었는데 같은해 EPS-P202C는 20,000엔의 가격으로 발매되어 MM 카트리지에서 어느정도 수준인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리니어 트래킹 암은 바늘 끝이 레코드 판을 직선 이동하기 때문에 왜곡 발생의 원인이 되는 트래킹 에러나 채널 간 불균형의 원인이 되는 인사이드 포스를 극히 0에 가깝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SL-QL1은 상부 캐비닛 안쪽에 컴팩트한 고정밀 리니어 트래킹 톤 암을 탑재하여 정확한 동작을 통해 우수한 바늘 끝 트랙 어빌리티를 획득하여 한번 써보면 음질이나 편리성에서 거의 완벽에 가까우며 자동으로 스타트를 하여도 톤암이 레코드판 위에 잘못 랜딩하여 바늘이 상하는일도 거의 없고 커버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톤암을 자유자재로 이동하여 선곡이 가능하며 반복연주나 어느 위치에서든지 리젝트도 가능하며 연주후에는 완벽하게 종료가 됩니다. 무엇보다 오리지날 EPS-P202C의 경우는 음질이 뛰어나 별도로 구입하는 왠만한 카트리지 보다 우수한 음질로 음악감상이 가능합니다. 현재 동작 정상이고 외관은 세월에 흔적이 조금 남아있습니다. 220V입니다.